본문 바로가기

보건증 발급 절차와 준비물 완벽 가이드

공드림 2025. 3. 20.
반응형

보건증(건강진단결과서) 발급을 위해 준비해야 할 필수 사항을 안내해 드립니다.


보건증 발급 준비물

  1. 신분증 (필수)
    • 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, 청소년증 등 본인 확인이 가능한 신분증
    • 미성년자는 학생증 또는 주민등록등본으로 대체 가능
  2. 검사 비용 (보건소 기준)
    • 보건소: 약 3,000~5,000원
    • 병원(의료기관): 의료기관마다 비용이 다를 수 있음 (약 2~5만 원대)
    • 카드 및 현금 결제 가능 (보건소에 따라 카드 결제 불가할 수도 있음)
  3. 반명함판 사진 (일부 보건소 요구)
    • 대부분은 필요하지 않지만, 일부 보건소에서 요구할 수도 있으므로 확인 필요
  4. 건강검진 대기기간 고려
    • 검사 후 결과가 나오기까지 3~7일 정도 소요
    • 검사 후 해당 보건소 또는 인터넷(공공보건포털)에서 보건증 발급 가능

🏥 보건증 발급 절차

  1. 방문 전 확인
    • 가까운 보건소 또는 지정 의료기관에서 보건증 발급 가능 여부 및 운영시간 확인
    • 일부 보건소는 사전 예약제를 운영하므로 미리 문의 필수
  2. 방문 및 검사 진행
    • 보건소 방문 후 건강진단 신청
    • 대상 검진 항목: 장티푸스, 결핵, 전염성 피부질환 검사 (식품업 종사자의 경우)
    • 일부 업종(유흥업 등)은 B형 간염 검사 추가
  3. 결과 확인 및 발급
    • 검진 후 3~7일 뒤 결과 확인 후 직접 방문 또는 인터넷(공공보건포털, 정부24)에서 발급 가능
    • 온라인 발급 시 공공보건포털 또는 정부24에서 본인 인증 후 출력 가능

📌 추가 유의사항

  • 일부 업종(유흥업, 목욕업 등)은 추가 검사 항목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확인 필요
  • 검진 전 공복 유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식사 후 방문 가능
  • 본인이 아닌 타인의 보건증 발급은 불가 (본인만 가능)
  • 보건증 유효기간: 1년 (업종에 따라 6개월~1년 차이 가능)

📢 문의할 곳

  • 가까운 보건소(질병관리청 보건소 찾기): 질병관리청 보건소 찾기
  • 정부24 서비스센터: ☎ 1588-2188
  • 공공보건포털 고객센터: ☎ 044-202-2800

필요한 사항을 미리 준비하여 원활한 보건증 발급을 받으시길 바랍니다! 😊

반응형

댓글